현(50)씨 사건의 진상 규명을 위
>
- 포트폴리오 >
- [복사본] 인테리어뉴스
현(50)씨 사건의 진상 규명을 위
>
- 포트폴리오 >
- [복사본] 인테리어뉴스
본문
김충현(50)씨 사건의 진상 규명을 위한 대책위원회가 12일 공식 출범했다.
또 원청업체인 한국서부발전 및 한전KPS 경영진에 대한 엄중 처벌을 촉구.
대책위는 이날 오후 3시께 고용노동부 천안지청.
사고 당일을 포함해 고인이 한전KPS 소속 직원 김모씨와 나눈 카카오톡 대화.
대책위제공 태안화력에서 작업 중 숨진 고(故) 김충현 비정규직 노동자의 휴대전화에서 원청인 한전KPS 측의 작업 지시로 보이는 정황이 다수 발견됐다.
태안화력 고 김충현 비정규직.
제공 충남 태안화력발전소에서 작업 중 화상을 입은 하청 노동자에 대해 산업재해 처리가 이뤄지지 않았다는 의혹이 제기됐다.
대책위는 "안전관리 부실에 이어 산재 은폐 시도까지 있었다"며 한전KPS와 재하청 업체를 비판했다.
태안화력 고 김충현 비정규직 노동자.
근로 감독을 앞두고 서부발전이 진상조사를 방해한다는 주장이 제기됐다.
태안화력 김충현 비정규직 노동자 사망사고 대책위원회(대책위)는 10일 성명서를 내고 "고인의 죽음에 책임을 지고 진상조사에 협조해야 할 한국서부발전은 근로감독의 취지를 훼손하는 자료.
작업 도중 숨진 한전 KPS 하청업체 소속 비정규직 노동자 김충현(50) 씨의 작업 현장에 3일 국화꽃이 놓여있다.
충전부 근접 작업 등 계약서상 유해 위험 작업으로 분류된 업무를 하면서도 상당수 혼자 근무했던 정황이 발견됐다”고 발표했다.
대책위는 ‘작업 전 안전회의’(TBM‧tool box meeting) 일지 다수에 하청업체 근로자 1명만 작업했다는 기록이 남아 있다고 했다.
kr (끝) ▶제보는 카톡 okjebo.
댓글목록
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.